Visit our YouTube channel at https://www.youtube.com/@daeheunginternationalchurc2950
for weekly sermon updates and online worship.
공지 | Turn the other cheek | Johan Reiners | 2025-09-28 | ||
|
|||||
“Turn the Other Cheek”? “다른 뺨을 돌려대라”?
Scripture Reading: Matthew 5:38–39
“You have heard that it was said, ‘Eye for eye, and tooth for tooth.’ But I tell you, do not resist an evil person. If anyone slaps you on the right cheek, turn to them the other cheek also.” “또 ‘눈은 눈으로, 이는 이로 갚아라’ 한 말을 듣지 않았느냐? 그러나 나는 너희에게 말한다. 악한 사람을 대적하지 말아라. 누가 네 오른뺨을 때리거든 왼뺨도 돌려 대어라.” Introduction: A Teaching That Troubles Us 서론: 우리를 당황하게 하는 가르침 doormats, allowing others to beat them up? The idea of “turning the other cheek” sounds weak, naïve, even dangerous. "다른 뺨을 돌려 대라"는 생각은 나약하고 순진하며 심지어 위험하게 들린다. Some people have used this verse to justify letting abuse continue unchecked. Others have dismissed it as unrealistic, something only saints or fools could ever try to live out. But what if Jesus was showing us something much deeper? Not passivity. Not weakness. But a new way of living— stronger than revenge, stronger than retreat, stronger even than violence. 1. The Old Law: Eye for Eye 옛 율법: 눈에는 눈 “You have heard that it was said, ‘Eye for eye, and tooth for tooth.’”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라고 말한 것을 너희가 들었다." This phrase originates from the Old Testament law (Exodus 21:24, Leviticus 24:20, Deuteronomy 19:21). At first glance, it may sound harsh: if someone hurts you, you are permitted to inflict equal harm in return. That law is known as the Lex Talionis, and it may be described as the law of tit for tat. The principle is clear and apparently simple--if a man has inflicted an injury on any person, an equivalent injury shall be inflicted upon him. 처음 읽었을 때, 마태복음 5:29 은 당혹스러울 수 있다. 이 성경구절이 예수님께서 제자들이 당하고도 참으며 다른 사람들이 자신들을 구타하도록 내버려 두기를 원하신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까? 어떤 사람들은 이 구절을 학대를 제지하지 않고 계속되도록 정당화하는 데 사용했다. 어떤 사람들은 이 말씀을 비현실적이고 성인이나 바보만이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치부했다. 그러나 예수님이 우리에게 훨씬 더 깊은 것을 보여주시고 계시다면 어떻게 될까? 수동성이 아니고 나약함이 아닌. 그러나 새로운 삶의 방식, 즉 복수보다 강하고 후퇴보다 강하며 폭력보다 훨씬 더 강한 방식을. 예수님의 급진적인 말씀을 이해하기 전에, 예수님이 말씀속에서 무엇과 대조하고 계시는지를 이해해야 한다. 예수님은 말씀하신다. 이 문구는 구약 율법(출애굽기 21:24, 레위기 24:20, 신명기 19:21)에서 유래한다. 언뜻 보기에, 그것은 가혹하게 들릴 수 있다. 만약 누군가가 당신을 해친다면, 당신은 동일한 해를 되돌려줄 수 있다. 그 법은 렉스 탈리오니스, 즉 ‘눈에는 눈, 이에는 이’ 라는 으로 알려져 있으며, '티트 포 탯', 즉 맞대응 법으로 묘사될 수 있다. 그 원리는 분명하고 명백히 단순하다. 만약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입혔다면, 상응하는 상처가 그에게 가해져야 한다. 동해(同害) 형법 • The Lex Talionis was originally intended to limit vengeance. 렉스 탈리오니스는 원래 복수의 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었다. • In the earliest times, vendettas and blood feuds were characteristic of tribal societies. If a man from one tribe injured a man from another, all members of the injured man's tribe would seek vengeance against the members of the offending tribe, and that vengeance was often death. 가장 초기 시대에 피의 복수와 혈투는 부족 사회의 특징이었다. 한 부족의 사람이 다른 부족의 사람을 해치면, 부상당한 사람의 모든 부족민들은 가해 부족민들에게 복수를 하고, 그 복수는 종종 죽음이었다. o It was always a law that specified how judges in courts should assess punishment and penalties for violent or unjust acts. (compare Deuteronomy 19:18). 폭력적이거나 부당한 행위에 대한 처벌과 벌금을 법원의 판사가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지를 명시한 법이 항상 있었다. (신명기 19:18 비교). • Over time, injuries were evaluated in monetary terms; So “eye for eye” was meant to stop the spiral. It said: no more than equal repayment. It set boundaries around revenge. 시간이 지나면서, 부상은 금전적 가치로 평가되었다. 그래서 "눈에는 눈"이란 법은 악순환을 멈추게 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 법은 동등한 보상 이상은 없다고 정하고 있다. 복수와 관련한 경계를 설정한 것이었다. And Jesus says: “But I tell you... there’s another way.” 2. The Right Cheek: A Gesture of Insult 오른뺨: 모욕의 제스처 "만약 누군가가 너의 오른뺨을 치면 다른 뺨도 그에게 돌려 대라." In the first-century Jewish world, most people were right-handed. To strike someone on the right cheek with your right hand meant a backhanded slap. This wasn’t primarily about inflicting pain. It was about insult, humiliation, and putting someone in their place. A master might backhand a slave. A Roman might backhand a Jew. It was the slap of superiority. It was society saying, “You are beneath me. You don’t count.” 1 세기 유대인 세계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오른손잡이였다. 오른손으로 누군가의 오른뺨을 때리는 것은 손등으로 때리는 것을 의미했다. 이 방법은 기본적으로 고통을 가하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그것은 모욕, 굴욕, 그리고 누군가를 면박주고 콧대를 꺾는 것에 대한 것이다. 손등으로 뺨을 치는 것은 우월감을 보이기 위한 것이었다. 사회가 "너는 내 아래에 있다. 너는 중요하지 않다" 라고 말하는 것이었다. So when Jesus says, “turn the other cheek,” he’s addressing what to do when someone tries to strip away your dignity. 그러므로 예수님께서 "다른 뺨을 돌려 대라"고 말씀하실 때, 예수님은 누군가가 당신의 존엄성을 빼앗으려고 할 때 무엇을 해야 할지를 말씀하고 계신다. 3. What Turning the Cheek Really Means 뺨을 돌려대는 것의 진정한 의미 만약 누군가가 당신의 오른뺨을 칠 때, 당신이 왼뺨을 돌려대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 To strike you again, they would need to use an open hand or fist—acknowledging you as an equal. 당신을 다시 치기 위하여, 손바닥이나 주먹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즉 당신을 동등한 사람으로 인정하는 것이다. By turning the other cheek, you are saying: 다른 뺨을 돌려 대면서 당신은 말하는 것이다: “I refuse to retaliate in kind. I refuse to sink to your level. But I also refuse to let you demean me. I stand before you as a child of God, with dignity you cannot take away.” 4. The Third Way: Not Fight, Not Flight 제 3 의 길: 싸움도 도망도 아니다 When we are wronged, we usually think we only have two choices: 우리가 부당한 일을 당했을 때, 우리는 보통 두 가지 선택만 있다고 생각한다. 1. Fight: Strike back, hurt them as they hurt you. "나는 똑같이 보복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당신의 수준으로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또한 당신이 나를 비하하도록 허용치 않을 것이다. 나는 당신이 빼앗을 수 없는 하나님이 주신 존엄성을 지닌, 하나님의 자녀로 당신 앞에 서 있다." 싸움: 반격하고, 상대가 당신을 아프게 한 것처럼 상대를 아프게 하라. 2. Flight: Run away, submit, swallow the insult. 도망: 도망치고, 복종하고, 모욕을 삼키라. But Jesus gives us a third way: stand firm, without hatred. It is a way of exposing injustice, breaking the cycle of retaliation, and standing rooted in the love and dignity of God. 그러나 예수님은 우리에게 제 3 의 길을 주신다: 미움 없이 굳건히 서라. 그것은 불의를 드러내고, 보복의 고리를 끊고, 하나님의 사랑과 존엄성에 뿌리를 내리는 방식이다. 5. Jesus’ Own Example 예수님의 본보기 When soldiers mocked him, struck him, and spat on him, he did not strike back. When he was nailed to the cross, he did not call down angels to destroy his enemies. Instead, he prayed: “Father, forgive them, for they do not know what they are doing.” 로마 병사들이 자신을 조롱하고, 때리고, 침을 뱉었을 때, 예수님은 반격하지 않으셨다. 십자가에 못 박히셨을 때, 예수님은 천사들을 불러 적들을 파멸하지 않으셨다. 대신, 예수님은 기도하셨다. "아버지, 저들을 용서하십시오. 저들은 자신들이 무엇을 하는지 알지 못합니다." 6. Our Struggle with This Teaching 이 가르침에 대한 우리의 분투 Everything inside us calls for revenge when we're hurt. Our culture constantly urges us to protect our pride at any cost. Jesus is not telling victims of abuse to stay silent or to keep being harmed. It’s about refusing to let hatred and humiliation define how we respond. It is about dignity. It is about trusting that God’s way of love is stronger than the world’s way of violence. Conclusion: A Call to Courageous Love 결론: 용기 있는 사랑에 대한 부름 So, what does it really mean to turn the other cheek? 그러므로, 다른 뺨을 돌려 대는 것은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는가? It means standing firm in the dignity God has given you, refusing to retaliate with hate, and courageously choosing the way of love. 우리 안의 모든 것은 우리가 상처를 입을 때 복수를 요구한다. 우리의 문화는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우리의 자존심을 보호하도록 끊임없이 촉구한다. 예수님께서는 학대의 희생자들이 침묵하거나 계속 피해를 당하라고 말씀하시는 것이 아니다. 예수님의 가르침은 미움과 굴욕으로 우리의 반응을 정의 내리기를 거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것은 존엄성에 관한 것이다. 그것은 하나님의 사랑의 방식이 세상의 폭력의 방식보다 더 강하다는 것을 신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