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mons

  • 홈 >
  • Sermons >
  • Sermons

Visit our YouTube channel at https://www.youtube.com/@daeheunginternationalchurc2950

for weekly sermon updates and online worship.

Sermons
공지 Prison without Walls Johan Reiners 2025-08-31
  • 추천 0
  • 댓글 0
  • 조회 19

http://daeheungintlchurch.org/bbs/bbsView/13/6557933

Prisons Without Walls


Jesus tells a story about debt, debtors, and a prison. One of the key points in this parable is the contrast between the two debts.

The first servant owed his master 10,000 talents; a talent was equivalent to 240 British pounds; therefore, 10,000 talents amount to 2,400,000 British pounds. Here was a debt larger than a king's ransom. This was what the servant was forgiven.

The debt a fellow-servant owed him was a small amount, amounting to 100 denarii. A denarius was worth about 4 pence, so the total debt was less than 5 British pounds—about one-fifth of his own debt. Thus, nothing we need to forgive can remotely compare to what we have been forgiven.

It is neither Jesus’s message nor his intention that forgiveness be used casually or as an instant cure. Forgiveness impacts all areas of life. The extent of forgiveness corresponds to the level of pain, trauma, and injustice involved. Let’s focus on three aspects: the reality of the prison, the reality of freedom, and the key to freedom.  

예수님은 빚, 채무자, 그리고 감옥에 관한 이야기를 하십니다. 이 비유의 핵심 중 하나는 두 빚의 대조입니다.

첫 번째 종은 주인에게 일만 달란트를 빚졌습니다. 달란트 하나는 240파운드에 해당하므로, 일만 달란트는 2,400,000파운드에 이릅니다. 이는 왕의 몸값보다도 큰 빚이었습니다. 바로 이 빚이 탕감되었습니다.

그런데 동료 종이 그에게 진 빚은 고작 100데나리온이었습니다. 데나리온 하나는 약 4펜스였으므로, 그 총액은 5파운드도 되지 않았습니다—즉 그의 빚의 5분의 1에 불과했습니다. 우리가 다른 사람을 용서해야 하는 어떤 것도, 하나님께서 우리를 용서하신 것과는 비교조차 되지 않습니다.

예수님의 메시지나 의도는 용서를 가볍게, 혹은 즉각적인 치료제로 사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용서는 삶의 모든 영역에 영향을 줍니다. 용서의 깊이는 고통, 트라우마, 불의의 크기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오늘 우리는 세 가지 측면에 집중해 봅시다: 감옥의 현실, 자유의 현실, 그리고 자유의 열쇠.

 

1. The reality of the prison

Two powerful images emerge from Jesus’ story: the imagery of an enormous debt and the image of the prison as a dungeon – a place of torture. 

Firstly, the debt is real, significant, and has consequences—regardless of whether it is large or small. Someone must pay for it. 

Debt must be paid. It leaves both the debtor and the creditor poorer. 

Also, debt is costly. Debt affects everyone. 

Therefore, forgiveness is not a simple or superficial matter. No one can opt out or escape the reality of pain, injustice, and trauma inflicted, and how to handle it. 

This pain can leave behind emotional wounds of rejection, fear, betrayal, and insecurity. 

Just as a physical wound can become infected if left untreated, emotional wounds can also become contaminated with feelings of resentment, bitterness, and revenge without the healing power of forgiveness. 

But, what about justice? What about setting the record straight?  

How do you demand forgiveness if someone has ruined your entire life?

Jesus recognized this. The debt is tangible; it is real! What Jesus implies is not a cheap forgiveness or setting free.  Feel the pain.   Feel the injustice!  You have to work THROUGH the trauma, not escape it.  Forgiveness is not an easy substitute for the pain of debt.  It is costly, therefore it is also lasting and precious.  

1. 감옥의 현실

예수님의 이야기에서 두 가지 강력한 이미지가 드러납니다: 어마어마한 빚의 이미지와 지하 감옥—고문의 장소—의 이미지입니다.

빚은 실제적이고, 중대하며, 결과를 동반합니다. 크든 작든 누군가는 반드시 그 값을 치러야 합니다.

빚은 반드시 갚아야 합니다. 그것은 채무자와 채권자 모두를 가난하게 만듭니다.

또한 빚은 비용이 큽니다. 빚은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용서는 단순하거나 피상적인 문제가 아닙니다. 누구도 고통, 불의, 트라우마의 현실을 피할 수 없습니다. 문제는 그것을 어떻게 다루느냐입니다.

이 고통은 거절, 두려움, 배신, 불안정이라는 감정의 상처를 남깁니다.

신체적 상처가 치료되지 않으면 감염되듯, 정서적 상처도 용서라는 치유의 힘이 없다면 원망, 분노, 복수심으로 오염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의는 어떻게 합니까? 잘못을 바로잡는 것은 어떻게 합니까?

누군가 내 인생 전체를 망쳐 놓았다면, 어떻게 용서를 요구할 수 있습니까?

예수님은 이 사실을 인정하셨습니다. 빚은 실체가 있고, 실제적입니다! 예수님이 말씀하시는 것은 값싼 용서나 무책임한 해방이 아닙니다. 고통을 느끼십시오. 불의를 느끼십시오! 트라우마를 피하려 하지 말고 그 과정을 통과해야 합니다. 용서는 빚의 고통을 대신할 값싼 대안이 아닙니다. 용서는 값비싸기에 영원하고 소중합니다.

2. The reality of prison walls

With every hurt, we find ourselves in a prison with invisible walls.  You can’t see them, but you can feel them.  There is one door, and the key is in your hand.  

With unforgiveness, time does not heal all wounds—in fact, it often worsens and deepens emotional pain. 

Unforgiveness creates an emotional storm of distress in which feelings of stress, anxiety, depression, insecurity, and fear surface. 

Unforgiveness also creates a hardened heart. 

Unforgiveness occupies a lot of “mental space.” Pain Becomes the Identity of the Unforgiving Person

Unforgiveness affects your judgment and outlook because you view the world and yourself through a lens of pain. 

Unforgiveness cannot be contained; it spreads like cancer, affecting other relationships and situations, and compromising our physical health. 

2. 보이지 않는 감옥의 벽

우리가 상처를 받을 때마다, 우리는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분명히 존재하는 벽으로 둘러싸인 감옥에 갇히게 됩니다. 출구는 단 하나, 열쇠는 당신의 손에 있습니다.

용서하지 않으면 시간이 모든 상처를 치유하지 않습니다—오히려 고통은 더 깊어지고 심해집니다.

용서하지 않으면 스트레스, 불안, 우울, 불안정, 두려움이 몰려오는 감정적 폭풍을 만듭니다.

용서하지 않으면 마음이 굳어집니다.

용서하지 않으면 정신적 공간이 소모됩니다. 고통은 용서하지 않는 사람의 정체성이 됩니다.

용서하지 않으면 판단과 관점이 왜곡됩니다. 세상과 자신을 고통의 렌즈로 보게 됩니다.

용서하지 않으면 그것은 암처럼 번져 다른 관계와 상황, 심지어 우리의 신체 건강까지 해칩니다.

3. Forgive because we have been forgiven

God’s Forgiveness of Us

Rooted in His Character:

 (Psalm 103:8). His forgiveness flows from His love and mercy.

 

Through Christ’s Sacrifice:

 “In him we have redemption through his blood, the forgiveness of sins” (Ephesians 1:7).

 

Complete & Restorative:

 God’s forgiveness doesn’t just cancel the penalty of sin; it restores the relationship.

 “As far as the east is from the west, so far has he removed our transgressions from us” (Psalm 103:12).

Our Forgiveness of Others

A Command, not a Suggestion:

 Jesus teaches: “If you forgive others when they sin against you, your heavenly Father will also forgive you” (Matthew 6:14-15).

The Process of Forgiveness in Scripture

Acknowledge the wrong — Confession before God (1 John 1:9) and, where possible, before the offended person (James 5:16).

 

Release the debt — Let go of vengeance, trusting God’s justice (Romans 12:19).

Seek reconciliation when possible — Forgiveness doesn’t always mean full restoration of trust, but it aims at peace (Romans 12:18).

3. 우리가 용서하는 이유: 우리가 먼저 용서받았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용서하심

그분의 성품에 뿌리박은 용서:

“여호와는 긍휼이 많으시고 은혜로우시며”(시편 103:8). 하나님의 용서는 사랑과 자비에서 흘러나옵니다.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한 용서:

“그의 피로 말미암아 속량 곧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에베소서 1:7).

완전하고 회복적인 용서:

하나님의 용서는 죄의 형벌만 취소하는 것이 아니라 관계를 회복합니다.

“동이 서에서 먼 것 같이 우리 죄과를 우리에게서 멀리 옮기셨으며”(시편 103:12).

우리가 다른 사람을 용서함

명령이지 선택이 아님:

예수님은 말씀하십니다. “너희가 사람의 잘못을 용서하면 너희 하늘 아버지께서도 너희 잘못을 용서하시리라”(마태복음 6:14-15).

성경적 용서의 과정

잘못을 인정하기 — 하나님 앞에서의 고백(요한일서 1:9), 가능하다면 상대방 앞에서의 고백(야고보서 5:16).

빚을 놓아주기 — 하나님의 공의를 신뢰하며 복수를 내려놓기(로마서 12:19).

화해를 추구하기 — 용서가 반드시 신뢰의 완전한 회복을 의미하지는 않지만, 평화를 향합니다(로마서 12:18).

 

 

4. The key in your hands

“Forgiveness isn’t approving what happened. It’s choosing to rise above it.”

Lewis B. Smedes once said, “To forgive is to set a prisoner free and discover that the prisoner was you”. 

Nelson Mandela once said, “Resentment is like drinking poison and hoping it will kill your enemies.” 

Unforgiveness is now classified as a disease in medical books. Forgiveness therapy is being used to treat diseases like cancer. 

“… Forgiving is not forgetting. It is remembering without anger.”

When you forgive people, you release yourself from their control. Forgiving others and yourself is a testament to self-love. You can’t move forward in life until you let go of your past hurts and heartaches.

4. 당신의 손에 있는 열쇠

“용서는 일어난 일을 승인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뛰어넘기로 선택하는 것입니다.”

루이스 B. 스미즈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용서란 죄수를 자유롭게 풀어주는 것이며, 그 죄수가 바로 자신임을 발견하는 것이다.”

넬슨 만델라는 이렇게 말했습니다. “원한은 독을 마시면서 그것이 원수를 죽일 것이라고 기대하는 것과 같다.”

용서하지 않음은 이제 의학 서적에서 질병으로 분류됩니다. 용서 치료는 암과 같은 질병을 다루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 용서는 잊는 것이 아닙니다. 분노 없이 기억하는 것입니다.”

사람을 용서할 때, 그들의 통제에서 벗어납니다. 타인과 자신을 용서하는 것은 자기 사랑의 증거입니다. 과거의 상처와 아픔을 놓지 않으면 인생은 앞으로 나아갈 수 없습니다.

 

Conclusion:

Begin where you are. Exactly where you sit – right there. Are you free? Or are you trapped within your prison of pain and hurt? Who are the voices you hear bouncing against the prison walls? A teacher who humiliated you, a drunk father or mother, a cheating partner, or an absent mother? It might be your own voice... from your past, and you can’t reach the point of forgiving yourself for wrongdoings. It’s painful—it’s unpleasant... until you feel something in your hand. A key. A key that drips with blood—the blood of Him who paid the ultimate price for your sins, my sins, our sins, and their sins. 

결론

지금 있는 자리에서 시작하십시오. 바로 이 자리에서. 당신은 자유합니까? 아니면 여전히 고통과 상처의 감옥에 갇혀 있습니까? 그 감옥의 벽에 부딪혀 울려 퍼지는 목소리는 누구입니까? 당신을 모욕한 교사? 술 취한 아버지나 어머니? 외도한 배우자? 혹은 부재한 어머니? 어쩌면 그 목소리는 과거의 당신 자신의 목소리일 수 있습니다. 아직 자신을 용서하지 못한 잘못의 소리일 수도 있습니다. 고통스럽고, 불쾌합니다... 그러나 그때 당신의 손에 무언가가 잡힙니다. 하나의 열쇠. 피가 묻은 열쇠—당신의 죄, 나의 죄, 우리의 죄, 그들의 죄를 위해 최후의 값을 치르신 분의 피가 묻은 열쇠입니다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God always remembers to bless on time 운영자 2025.09.11 0 20
다음글 Step out and start walking 운영자 2025.08.28 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