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mons

  • 홈 >
  • Sermons >
  • Sermons

Visit our YouTube channel at https://www.youtube.com/@daeheunginternationalchurc2950

for weekly sermon updates and online worship.

Sermons
공지 Midnight Guests and Borrowed Bread Johan Reiners 2025-08-10
  • 추천 0
  • 댓글 0
  • 조회 40

http://daeheungintlchurch.org/bbs/bbsView/13/6550566

ntroduction 서론

 

The Luke 11 parable is another example of Jesus’ Jewish humor. The parable can be understood either from their similarities or from their differences. The key point here is based, not on similarity, but on hyperbolic contrast.

To appreciate this parable, understand it from the Middle Eastern hospitality culture.

이 비유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중동의 환대 문화를 알아야 한다.

In this culture, hospitality rules were clearly defined and rigidly followed. To open your home to a friend without offering them bread to eat was an egregious breach of etiquette. Travelers often journeyed late in the evening to avoid the heat of the midday sun. In Jesus' story, just such a traveller had arrived towards midnight at this friend's house. In the villages, bread was baked at home. Only enough for the day's needs was baked because, if it were kept and became stale, no

one would wish to eat it.

 

 

The late arrival of the traveller confronted the householder with an embarrassing situation, because his larder was empty and he could not fulfil the sacred obligations of hospitality. Late as it was, he went out to borrow from a friend. The friend's door was shut. In the east, no one would knock on a shut door unless the need was imperative. In the morning, the door was opened and remained open all day, for there was little privacy; but if the door was shut, that was a definite sign that the householder did not wish to be disturbed. But the seeking householder was not deterred. He knocked and kept on knocking.

The poorer Palestinian house consisted of one room with only one small window. The room was divided into two parts, not by a partition but by a low platform. Two-thirds of it was on ground level. The other third was slightly raised. On the

누가복음 11 장의 비유는 예수님의 유대식 유머를 보여주는 또 하나의 예시다. 이 비유는 유사점이나 차이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핵심은 유사점이 아니라 과장된 대비에 기반한다.

중동의 문화에서는 환대 규칙은 명확하게 규정되고 엄격하게 준수되었다. 친구에게 빵을

제공하지 않고 집문을 열어주는 것은 예의에 크게 어긋나는 것이었다. 여행자들은 종종 한낮의 태양의 열기를 피하기

위해 저녁 늦게 여행을 했다. 예수님의 이야기에서 바로 그러한 여행자가 한밤중에 친구의 집에 도착했다.

마을에서는 빵을 집에서 구웠다. 단지 하루 필요량만큼만 구웠는데, 보관해두면 굳어져서 아무도 먹고 싶어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늦은 시간에 도착한 여행객으로 인하여 집주인은 당혹스러운 상황에 처하게 되었다. 그의 식품 저장고는 비어 있었고

신성한 환대 의무를 이행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늦은 시간이었지만 이웃 친구에게 빵을 꾸기 위해 나갔다. 친구집의

문은 닫혀 있었다. 중동지역에서는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아무도 닫힌 문을 두드리지 않았다. 사생활이 거의

없었기에, 아침에는 문이 열리고 하루 종일 열려 있었지만, 그러나 문이 닫히면 그 집주인이 방해받고 싶어 하지

않는다는 명확한 신호였다. 하지만 빵을 구하려는 집주인은 단념하지 않았다. 그는 계속 문을 두드렸다.

raised part, the charcoal stove burned all night, and around it the whole family slept, not on raised beds but on sleeping mats. Also, it was the custom to bring the livestock, the hens, the cocks, and the goats into the house at night. To knock at night will cause everybody to wake up and be disturbed.

But the determined borrower knocked with shameless persistence.

그러나 밤에 찾아온 친구를 위해 기필코 빵을 구하려는 친구는 뻔뻔스럽게도 끈질기게 이웃집의 문을 두드렸다. The lesson of this parable is not that we must persist in prayer.
이 비유의 교훈은 기도에 끈기 있게 매달려야 한다는 것이 아니다.
This story is a lesson in the school of prayer.

이 이야기는 기도 학교에서의 가르침이다.
1. Grade School: We must pray 초등 저학년: 우리는 기도해야 한다.

In Luke 11:1-5, Jesus is praying. His disciples asked him to teach them to pray. His teaching starts with “When you pray...”

Jesus had been brought up to love prayer, and in this passage, he gives us the Christian charter of prayer – the Lord’s Prayer. Jesus taught His disciples the importance of prayer. It’s the ABC of following Jesus.

2. Elementary School: Know God 초등학교: 하나님을 알아야 한다.

In the story, Jesus tells about a friend going to a friend. Yet, he contrasts it and takes us to a relationship between a father and child. “How much more...!” If a friend's shameless persistence can eventually persuade a grumpy and unwilling householder to give him what he needs, how much more will God, supply all his children's needs?" Your concept of God will determine how you pray.

가난한 팔레스타인 사람의 집은 작은 창문이 하나 있는 방 하나로 이루어져 있었다. 방은 칸막이가 아닌 낮은 단으로

두 부분으로 나뉘었다. 3 분의 2 는 지반 높이이고 나머지 3 분의 1 은 약간 높았다. 높은 부분에는 숯 난로가 밤새도록

타고 있고 그 주위에서 온 가족이 침대가 아닌 매트 위에서 잠을 잤다. 또한 밤에는 가축, 암탉, 수탉, 염소를 집안으로

들여오는 것이 관례였다. 밤에 문을 두드리면 모든 사람이 깨고 방해를 받게 된다.

누가복음 11:1-5 에서 예수님은 기도하고 계신다. 예수님의 제자들이 예수님께 기도를 가르쳐 달라고 요청했다.

예수님의 가르침은 너희는 기도할 때...”로 시작한다.

예수님은 기도를 사랑하도록 가르침을 받으며 자랐고, 이 구절에서 예수님은 우리에게 기독교의 기도 헌장인 주기도문을 주신다.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기도의 중요성을 가르치셨다. 그것이 예수님을 따르는 ABC, 즉 기본이고

본질이다.

이 이야기에서 예수님은 친구를 찾아 가는 친구에 대해 말씀하신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 친구이야기를 대조하며

우리를 아버지와 자녀 사이의 관계로 이끄신다. “얼마나 더...!” 친구의 뻔뻔스러운 끈기가 결국 투덜대고 마지

못해하는 집주인을 설득하여 그에게 필요한 것을 주게 한다면, 하나님께서는 자녀들의 모든 필요를 얼마나 더 채워

주시겠는가? 당신이 하나님을 어떤 분으로 생각하고 있는지, 하나님에 대한 당신의 개념이 당신의 기도 방식을

결정한다.

We are not wringing gifts from an unwilling God, but going to one who knows our needs better than we know them and whose heart towards us is the heart of generous love.

3. Middle School: How to pray 중학교: 기도하는 방법

In telling this story, Jesus explains prayer as asking, seeking, and knocking. He teaches that prayer is not a passive experience. These three words are all action verbs, and they build in intensity. Jesus was saying, “Ask and keep on asking; Seek and keep on seeking; Knock and keep on knocking.”

Asking is the first step of action, and it’s the most important. James writes, “...You do not have because you do not ask God” (James 4:2).

Seeking God’s answer about your request is the second step of action. Seeking implies two actions: seeking God’s will, and seeking for an answer. One is spiritual and the other is practical. If I ask God for a job, start looking for a job! Also, keep seeking God’s will in finding the right job.

Knocking is the third step of action. In Jesus’ story, what would have happened if the needy neighbor had stayed at home and only silently prayed, “Dear God, please provide bread for my guest!”? When you pray; you knock on doors. Let’s say you need a job. Pray and ask God for a job, but don’t sit at home and wait for someone to hire you. Put feelers out in the community, line up interviews, etc. Jesus teaches in this parable that prayer involves a plan of action. It’s not about sitting and asking; it’s asking, seeking, and knocking.

4. High School: Trusting in the Answer 고등학교: 응답을 신뢰하라. God will never refuse our prayers, nor will He mock them.

우리는 마지 못해하시는 하나님으로부터 선물을 짜내는 것이 아니라, 우리 자신보다 우리의 필요를 더 잘 아시고,

우리를 향한 마음이 관대한 사랑의 마음이신 분께 가고 있는 것이다.

이 이야기를 말씀하시면서, 예수님은 기도를 구하고, 찾고, 두드리는 것으로 설명하신다. 예수님은 기도가 수동적인

경험이 아니라고 가르치신다. 이 세 단어는 모두 행동을 강조하는 동작 동사이며 점점 강도를 높인다. 예수님은

구하고 계속 구하라. 찾고 계속 찾으라. 두드리고 계속 두드리라라고 말씀하고 계셨다.

구하는 것은 행동의 첫 번째 단계이며 가장 중요하다. 야고보는 구하지 않기 때문에 얻지 못한다”(야고보서 4:2)

쓰고 있다.

당신의 요청에 대한 하나님의 응답을 찾는 것은 행동의 두 번째 단계다. 찾는 것은 두 가지 행동을 의미한다. 하나님의

뜻을 찾는 것과 응답을 찾는 것이다. 하나는 영적이고 다른 하나는 실제적이다. 만약 내가 하나님께 일자리를

구한다면, 일자리를 찾기 시작하라! 또한, 올바른 일자리를 찾는 데 있어서 하나님의 뜻을 계속 구하라.

두드리는 것은 행동의 세 번째 단계다. 예수님의 이야기에서, 빵이 필요한 이웃이 집에 머물면서 조용히 사랑하는

하나님, 내 손님을 대접할 빵을 주세요!”라고 기도했으면 어떻게 되었을까? 기도할 때, 문을 두드려라. 직장이

필요하다고 가정해 보자. 직장을 위해 기도하고 하나님께 구하라. 그러나 집에 앉아서 누군가 당신을 고용해주기를

기다리지 말라. 지역 사회에 구인정보를 알아보고 인터뷰 일정을 정하는 등 움직이라. 예수님은 이 비유에서 기도가

행동 계획을 포함한다고 가르치신다. 그저 앉아서 구하는 것이 아니라, 구하고, 찾고, 두드리는 것이다.

하나님은 우리의 기도를 결코 거절하지 않으실 것이며, 우리를 조롱하지 않으실 것이다.

 


God always answers prayer, but the following might help you understand what is happening when you are praying. 하나님은 항상 기도에 응답하시지만, 다음의 내용은 당신이 기도할 때 일어나고 있는 일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If the request is wrong, God says, “No.” And that is for our good.

    요청이 잘못된 경우 하나님은 “아니오”라고 말씀하신다. 그리고 그것은 우리의 유익을 위한 것이다.

  • Sometimes the request is proper, but the timing is wrong. God says, “Slow.” In this case, keep on praying until you recognize God’s timing.

  • Sometimes the request is right, and the timing is right, but we aren’t right with God. That’s when God says, “Grow.”

  • When the request is right, the timing is right, and you are right, God says, “Go.”

    요청이 옳고 시기가 옳고 당신이 하나님 앞에 옳으면, 하나님은 좋아, 나아가라고 말씀하신다. Conclusion 결론

    God wants to meet your physical needs. Jesus mentions a child asking for food, a fish, or an egg. Those are basic needs. They aren’t luxuries. Ask God the Father for the things you need to sustain you physically. But also note Jesus taught that God wants to meet your spiritual needs, namely the Holy Spirit (verse 13). There isn’t anything God will withhold from us when we pray according to His will.

때로는 요청이 적절하지만 시기가 적절하지 않다. 하나님은 “천천히” 라고 말씀하신다. 이 경우 하나님의 시간을 깨달을 때까지 계속 기도하라.

때로는 요청이 옳고 시기도 적절하지만, 하나님을 향한 우리가 옳지 않을 때가 있다. 그때는 하나님이

성장하라고 말씀하시는 때이다.

하나님은 당신의 육체적 필요를 충족시키기를 원하신다. 예수님은 음식, 생선, 또는 달걀을 달라는 아이에 대해 언급하신다. 그것들은 기본적인 필요다. 사치가 아니다. 육체적으로 당신을 지탱하는 데 필요한 것을 하나님 아버지께 구하라. 그러나 예수님은 또한 하나님이 당신의 영적인 필요를 채우시기를 원한다는 것, 즉 성령(13 )

주기를 원한다고 가르치신 것에 주목하라. 우리가 하나님의 뜻에 따라 기도할 때 하나님이 우리에게 주시지 않을 것은 아무것도 없다.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The reason there are no trees in the desert! 사진 운영자 2025.08.17 0 28
다음글 The Naked Truth 운영자 2025.08.03 0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