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t our YouTube channel at https://www.youtube.com/@daeheunginternationalchurc2950
for weekly sermon updates and online worship.
공지 | The Naked Truth | Johan Reiners | 2025-08-03 | ||||
|
|||||||
The Naked Truth 절대적 진실
The telling of the parable was prompted by a question: When asked how to gain eternal life, Jesus replies, “You shall love the Lord your God with all your heart, and with all your soul, and with all your strength, and with all your mind; and your neighbor as yourself.” 우화의 이야기는 한 가지 질문으로부터 시작된다. 영생을 얻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느냐는 질문에 예수 님은 이렇게 대답하신다. " 네 마음을 다하고 정성을 다하고 힘을 다하고 뜻을 다하여 주 너의 하나님을 사랑하라. 그리고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 It is worth knowing the Jews’ take on this: 이 말씀에 대한 유대인들의 생각을 알아볼 가치가 있다. In classical Judaism, relationships work like this: First comes the self, then family, kinsman, fellow Jews, and everyone else is excluded from the duty to love or to show any kind of deep loyalty. 고대 유대교에서는 관계가 이렇게 이해된다: 먼저 자신이 중요하고, 그 다음이 가족, 친족, 동족인 유대인이며, 나머지는 사랑이나 깊은 충정을 보일 의무에서 배제된다. Jesus makes a revolutionary statement by telling a story—that of the good Samaritan. The story must also be read with Matthew 25:40: "Truly I tell you, whatever you did for one of the least of these brothers and sisters of mine, you did for me.” 예수님은 선한 사마리아인의 이야기를 통해 당시 사회에서는 혁명적인 말씀을 하신다. 이 이야기는 마태 복음 25장 40절과 함께 읽어야 한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너희가 여기 내 형제 중 지극히 작은 자 하나에게 한 것이 곧 내게 한 것이다."
1.
According to William Barclay, he was obviously a reckless and foolhardy character. By traveling alone, this man had no one but himself to blame for the plight in which he found himself. 윌리엄 바클레이에 따르면, 여행자는 분명히 무모하고 경솔한 성격의 소유자다. 혼자 여행함 으로써, 이 사람은 자신이 처한 곤경에 대해 자신 외에는 아무도 탓할 수 없다. We don’t know him. Jesus left out important details about him. With good reason. 여행자에 대해 아는 것은 없다. 예수님은 여행자에 대한 중요한 세부사항을 말씀하지 않으셨 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He has no name – no family name to be identified with.
이름이 없다 –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성도 없다.
2. Who was he to the people in the drama? 극중 인물들에게 여행자는 누구였나?
When the thieves saw the man traveling down the road, they did not see a fellow human being. They saw someone they could exploit. No matter how they harmed him, so long as they got what they wanted. 강도들은 예루살렘에서 여리고로 내려가고 있는 이 사람을 보았을 때, 그를 동료 인간으로 보지 않았다. 약탈할 수 있는 누군가로 본 것이다. 원하는 것을 얻은 한, 여행자에게 가해진 해 따위는 문제가 되지 않았다.
◼ Warren Wiersbe said: “God gave us things to use and people to love. If we start loving things, we will start using people.” That’s exploiting. 워렌 위어스비는 말한다: "하나님은 우리에게 쓸 물건 과 사랑할 사람을 주셨다. 만일 우리가 물건을 사랑하기 시작하면, 우리는 사람을 이용하기 시작하게 될 것이다." 그것이 약탈이며 착취다.
2.2, The Priest and Levite– A nuisance to avoid 제사장과 레위인 – 피해야 할 성가신 존재 ThenakedtruthisthatbothpriestandLeviteviewedthismanthroughthelensofabook–theholiest of all – the Torah. Jesus constantly had to readjust their lenses. The law and its interpretation thereof have blinded them. The priest was afraid of touching the “dead” – it would cost him a week of impurity. Therefore, rather than passing the other side. 적나라한 진실은 제사장과 레위인이 이 사람을 가장 거룩한 책의 렌즈, 즉 토라의 렌즈를 통해 보았다는 것이다. 예수님은 끊임없이 이들의 렌즈를 재조정해야 했다. 율법과 그 해석이 이들을 눈멀게 했다. 제사장은 "죽은 자"를 만지는 것을 두려워했다 – 일주일동안 불결하다 여겨질 것이 기 때문에. 따라서 그 길을 피해 지나갔다.
2.3, The Lawyer: A problem, a case: 율법학자: 문제, 사건 For the lawyer, a professional, the question is academic. The helpless victim is just a case or study subject. Nothing more, nothing less. Again, Wiersbe: “We are comfortable spectators and not concerned participants.” 율법학자에게 이 상황은 학문적으로 접근할 문제이다. 무력한 희생자는 단지 하나의 사건, 연구 대상일 뿐이다.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다시 위어스비의 말을 들어보자: "우리는 안락한 방관자이지, 관심을 보이는 참여자가 아니다."
2.4. The Samaritan – a Neighbor 사마리아인 – 이웃 Meet the third person of the parable: a Samaritan. The GOOD Samaritan! 이 비유의 세 번째 사람을 만나 보자: 사마리아인. 선한 사마리아인! Forthosewhofirstheardthisstorysome2,000yearsago,thephrase"GoodSamaritan"wouldhave been an oxymoron—two words or phrases that are opposite. 2,000년 전 처음 이 이야기를 들었던 사람들에게 "선한 사마리아인"이라는 표현은 모순어법이었 을 것이다 – 상반되는 두 단어 혹은 구문. For them, the only GOOD Samaritan would have been a DEAD Samaritan. 그들에게 유일한 선한 사마리아인은 죽은 사마리아인이었을 것이다. The Jews absolutely hated the Samaritans and would have nothing to do with them. 유대인들은 사마리아인들을 절대적으로 미워했고 그들과 아무런 관계도 맺지 않으려 했다. Andyet,itisthisman,aSamaritan,anoutcast,whounderstoodsomethingoftheheartofJesus.He simply saw a naked man – the ultimate need without any chance of returns or accolades. 그러나, 예수님 마음의 무엇인가를 이해한 사람이 바로 이 사람, 사마리아인, 유대인들이 배척하던 사람이다. 사마리아인은 그야말로 벌거벗겨진 사람을 보았다. 즉, 어떤 보상이나 찬사도 기대할 수 없는 궁극의 필요를 본 것이다.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