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mons

  • 홈 >
  • Sermons >
  • Sermons

Visit our YouTube channel at https://www.youtube.com/@daeheunginternationalchurc2950

for weekly sermon updates and online worship.

Sermons
공지 Ready for the Feast Johan reiners 2025-07-27
  • 추천 0
  • 댓글 0
  • 조회 37

http://daeheungintlchurch.org/bbs/bbsView/13/6546647

Ready for the Feast! 잔치를 준비하라!

 

 

Introduction: 서론

 

The parables are both mirrors and windows. As mirrors, they help us see ourselves more clearly. They reveal life as it really is. As Windows, they see our life and help us to see God.

비유는 거울이자 창문과 같다. 거울처럼, 비유는 우리 자신을 더욱 분명하게 볼 수 있도록 도와준다. 삶의 참모습을 그대로 드러내 준다. 창문처럼 우리 삶을 보고 하나님을 볼 수 있도록 돕는다.

 

 

Today, I would like to reflect on the parable of the Ten Virgins, which Jesus uses to teach us about being prepared for

the Kingdom of Heaven.

오늘은 예수님께서 천국에 대한 대비를 가르치시기 위해 사용하시는 열 처녀의 비유를 묵상하고자 한다.

In reality, the parable tells a story that could have taken place at any time in a Palestinian village and could still happen today. The story revolves around a wedding feast.

실제로, 이 비유는 팔레스타인 마을에서 언제든지 일어날 수 있었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일어날 수 있는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야기는 결혼 잔치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Look at this passage with me. I believe you'll see three sections in the story.
이 구절을 함께 살펴보도록 하자. 이야기가 세 부분으로 나뉜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In verses 1-4, the character of the bridesmaids is described. There are ten wise bridesmaids and ten foolish

    bridesmaids. 1-4 절에서는 신부 들러리의 성품이 묘사되어 있다. 열 명의 슬기로운 신부 들러리와 열 명의

    어리석은 신부 들러리가 있다.

  • In verses 5-10, you'll see the results of their carefulness and carelessness.

5-10 절에서는 이들의 세심함과 부주의의 결과를 볼 수 있다.

Finally, in verses 11-13, you'll see how Jesus interprets the story.

마지막으로, 11-13 절에서는 예수님께서 이야기를 어떻게 해석하시는지 볼 수 있다.

Let’s examine this together. 이를 함께 살펴보도록 하자. 1. The betrothal 정혼

Thus, to correctly interpret this parabl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religious and cultural context of Hebrew society. The wedding ritual consisted of three parts. 이 비유를 올바르게 해석하려면 히브리 사회의 종교적, 문화적 맥락을 이해해야 한다. 결혼 의식은 세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The first was engagement – a formal agreement made by the fathers.

첫째는 약혼이다. 이는 아버지들이 맺은 공식적인 합의이다

The second was betrothal – the ceremony where mutual promises are made.

  • 두 번 째는 정혼으로, 이는 상호간의 약속이 이루어지는 의식이다(*법적 구속력이 더 강함).

  • The third was marriage – approximately one year later when the bridegroom came at an unexpected time for his bride. 세 번 째는 결혼이다. 신랑이 예상치 못한 시간에 신부에게 오는 약혼 후 약 1 년 후이다.

    The point of this story is about a Jewish custom that is very different from anything we are familiar with. It all starts a year before the wedding feast with the betrothal of the couple.

    The first stage of the wedding ritual was the betrothal or engagement. The Gospel of Matthew states that Mary, the mother of Jesus, was betrothed to Joseph. In Hebrew society, this part of the wedding was called kiddushin, derived from the Hebrew verb “kadash,” meaning “to sanctify [oneself] as a wife.” In ancient Israel, the betrothal was not just an engagement but literally meant “sanctification or separation.” In the ceremony, a man had to give his bride a piece of gold at least the size of half a barley grain (later replaced by a gold ring). If the girl accepted this piece of gold, she became holy, meaning it was forbidden to everyone except the one from whom she had accepted it.

    결혼 의식의 첫 번째 단계는 정혼 또는 약혼이었다. 마태복음은 예수님의 어머니 마리아가 요셉과 정혼했다고 말한다. 히브리 사회에서 결혼식의 이 부분을 키두신이라고 불렀는데, 이는 히브리어 동사 “카다쉬”에서 파생된 것으로, “[자신을] 아내로써 성결하게 하다”라는 의미이다. 고대 이스라엘에서 약혼은 단순한 약혼이 아니라 문자 그대로 “성결 또는 분리”를 의미했다. 의식에서 남자는 신부에게 적어도 보리알 반 개 만한 크기의 금조각 (이후에 금반지로 대체됨)을 주어야 했다. 소녀가 이 금 조각을 받아들이면 그녀는 성결해지는데, 이는 소녀가 금조각을 받은 사람을 제외한 누구에게도 금지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했다.

    In the next part of the wedding ceremony, the groom signed a marriage contract with the bride’s father, which was called ketuba.

    결혼식의 다음 부분에서 신랑은 신부의 아버지와 결혼 계약에 서명을 하는데, 이것을 케투바라고 불렀다.

이 이야기의 요점은 우리가 익숙한 것과는 매우 다른

유대인 관습에 관한 것이다. 모든 것은 결혼 잔치 1 년 전에 커플의 정혼으로 시작된다.

Between the betrothal and the wedding feast, the bridegroom was responsible for preparing a home for the bride. He would usually do this in his family compound either by building a new one or expanding the existing property to

accommodate his family. This process typically took about a year. Can you hear Jesus’ words in John 14: 2 to 4?

정혼과 결혼 잔치 사이에 신랑은 신부를 위한 집을 준비할 책임이 있었다. 보통 자신의 가족이 살고 있는 곳에 새

집을 짓거나 가족을 수용할 수 있도록 기존 집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이 일을 진행했다. 이 과정은 일반적으로 약

1 년이 걸렸다. 요한복음 14:2-4 에서 예수님이 하시는 말씀을 들을 수 있는가?

Remember that the couple will live separately during this time.

커플은 이 기간 동안 따로 살 것이라는 점을 기억하라.

2. The midnight call 한밤중의 부름

Although Jewish weddings have their serious side, they also have a playful side to them. Marriage feasts are filled with symbolism and games. The exact day of the wedding was ambiguous. The bridegroom tried to catch his bride off guard by not announcing the exact hour of the wedding. It usually happened like this:

유대인 결혼식은 진지한 면도 있지만 유쾌한 면도 있다. 결혼 잔치는 상징과 놀이로 가득 차 있다. 결혼식의 정확한 날짜는 모호했다. 신랑은 결혼식의 정확한 시간을 알리지 않음으로써 신부를 방심하게 하려고 했다. 보통은 이렇게 진행된다.

There were signs of preparation. 준비의 징조가 있었다.

But, no one knows the exact hour of the wedding. 하지만 결혼식의 정확한 시간은 아무도 모른다.

The bride waited at her father’s home, flanked by her bridesmaids who happened to be virgin girls, like her. 신부는 아버지의 집에서 기다렸고, 신부 들러리들(그녀처럼 처녀인 소녀들)이 신부를 에워쌌다.

  • The marriage ceremony took place at the groom’s house. At any given moment, he would send his servants ahead to sound the shofar or trumpet. When the bride hears the trumpet, or the call, “Behold, the Bridegroom

    is coming!” she goes out to meet her groom and joins the procession to the father’s house. 결혼식은 신랑의

    집에서 열렸다. 어느 순간에 신랑은 하인을 보내 뿔피리나 나팔을 불게 할 것이다. 신부가 나팔소리나

    "보라, 신랑이 오신다!"라는 외침을 들으면 신랑을 만나러 나가 아버지의 집으로 가는 행렬에 합류한다.

  • It was illegal and very dangerous to go out at night without a lamp. Therefore, they must all be prepared with enough oil and a supply of extra oil, if needed. 밤에 램프 없이 나가는 것은 불법이고 매우 위험했다. 따라서 모두가 기름과 여분의 기름까지 충분히 준비해야 했다.

1 Thessalonians 4:16-17 데살로니가전서 4:16-17
Someday, there will be the sound of the trumpet. The point Jesus is making is to live ready!

언젠가 트럼펫 소리가 있을 것이다. 예수님이 말씀하시는 요점은 준비된 상태로 사는 것이다!

3. Shut out because of their lack of oil 기름 부족으로 문이 닫히다

This is the saddest part of the story. The five foolish virgins appeared to be ready for the bridegroom, because they had their lamps in hand. But they really were not ready, because they took no oil with them.

이것은 이야기의 가장 슬픈 부분이다. 다섯 명의 어리석은 처녀는 손에 램프를 들고 있었기 때문에 신랑을 맞이할

준비가 된 것처럼 보였다. 하지만 그들은 기름을 가지고 가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 준비되지 않았다.

Like many of Jesus’ parables, this one has both an immediate and local meaning, as well as a wider and universal meaning. 예수님의 많은 비유와 마찬가지로 이 비유에는 즉각적이고 지역적인 의미와 더 넓고 보편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In its immediate significance, it was directed against the Jews. But the parable has at least two universal warnings.

즉각적인 중요성에서 그것은 유대인을 향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 비유에는 적어도 두 가지 보편적인 경고가 있다.

It warns us that there are certain things we cannot obtain at the last minute. It is easy to leave things so late that we can no longer prepare ourselves to meet with God. To be too late is always a tragedy.

그것은 마지막 순간에 얻을 수 없는 어떤 것들이 있다고 경고한다. 너무 늦게까지 일을 남겨두어 더 이상 하나님을 만날 준비를 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너무 늦는 것은 항상 비극이다.

It warns us that certain things cannot be borrowed. The foolish virgins found it impossible to borrow oil when they discovered they needed it. A man cannot borrow a relationship with God; he must possess it for himself. A man cannot borrow a character; he must be clothed with it. We cannot always rely on the spiritual capital that others have accumulated. There are certain things we must win or acquire for ourselves, for we cannot borrow them from others.

빌릴 수 없는 것들이 있다고 경고한다. 어리석은 처녀들은 기름이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을 때 기름을 빌리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았다. 인간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빌릴 수 없다; 하나님과의 관계는 스스로 지니고 있어야 한다. 사람은 성품을 빌릴 수 없다; 스스로 성품의 옷을 입어야 한다. 우리는 항상 다른 사람들이 축적한 영적 자본에 의존할 수 없다. 우리가 다른 사람에게서 빌릴 수 없는, 우리가 얻거나

획득해야 하는 특정 것들이 있다.

Nevertheless, a key to Christian readiness is to be constantly filled with the Holy Spirit (Ephesians 5:18). Much of the weakness, defeat, and lethargy in our spiritual lives can be explained if we are not constantly filled with

the Holy Spirit.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스도인의 준비에 대한 핵심은 성령으로 끊임없이 채워지는 것이다(에베소서 5:18). 우리가 성령으로 끊임없이 충만해지지 않을 때, 우리의 영적 삶의 나약함, 패배, 무기력증의 대부분은 설명될 수 있다.

The door was shut... “Assuredly, I say to you, I do not know you.” The penalty was severe for the foolish maidens. They were not allowed to come to the wedding, and the door was shut against them in the strongest terms.

문이 닫혔다... "진실로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내가 너희를 알지 못하노라." 그 형벌은 어리석은 처녀들에게 가혹했다. 그들은 결혼식에 참석할 수 없었고 가장 강한 용어로 그들에게 문은 닫혔다.

 

 

Conclusion 결론

 

This story emphasizes the truth that now is the time to prepare for Jesus’ coming. Later will be too late. The story of the ten virgins, also known as the ten bridesmaids, reminds us that when the day arrives, it is too late to start preparing.

이 이야기는 바로 지금이 예수님의 오실 때를 준비할 시간이라는 진리를 강조한다. 나중은 너무 늦을 것이다.

처녀의 이야기(열명의 신부 들러리로도 알려진)는 그 날이 오면 준비를 시작하기에는 너무 늦었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The Naked Truth 운영자 2025.08.03 0 31
다음글 Parties and Patches 운영자 2025.07.20 0 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