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mons

  • 홈 >
  • Sermons >
  • Sermons

Visit our YouTube channel at https://www.youtube.com/@daeheunginternationalchurc2950

for weekly sermon updates and online worship.

Sermons
공지 Elijah a Story of Trust Johan Reiners 2025-07-06
  • 추천 0
  • 댓글 0
  • 조회 46

http://daeheungintlchurch.org/bbs/bbsView/13/6540525

Scripture Reading: 1 Kings 18:19-22

 

 

A Story of Trust 믿음이야기 

 

Introduction 서론

The stories of the Bible are built around three main elements: setting, characters, and plot. Besides their literal, historical meaning, the setting often carries symbolic significance. Cherith, a place of testing, and Zarephath, a place of refining, both represent the ideas of testing and refining that God uses to shape our

character. The setting of Mount Carmel is equally symbolic, if not more so. In the Bible, revelations frequently occur on mountains (e.g., Moses’ meeting with God on Mount Sinai; Elijah’s confrontation with the Baal priests before all Israel; his encounter with God in chapter 19; and Jesus’ transfiguration on the

Mount of Olives). 성경의 이야기는 배경, 등장인물, 줄거리라는 세 가지 주요 요소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문자적이고 역사적인 의미 외에도 배경은 종종 상징적인 의미를 지닌다. 시험의 장소인 그릿 시내와 연단의 장소인 사르밧은 모두 하나님께서 우리의 성정을 다듬는 데 사용하시는 시험과 연단의 개념을 상징한다. 갈멜 산의 배경 또한 그보다 더 상징적이다. 성경에서 계시는 산에서 자주 일어난다 (: 모세가 시내 산에서 하나님을 만난 일, 엘리야가 온 이스라엘 앞에서 바알 제사장들과 맞선 일, 19 장에서 엘리야가 하나님을 만난 일, 그리고 예수님의 감람산에서의 변형).

The Carmel episode is the dramatic highlight of the story. Whatever happens here was preceded by years of preparation. Therefore, we will examine the following points and listen to what God is saying to us. 갈멜산

사건은 이야기의 극적인 하이라이트다. 여기서 일어나는 일은 모두 그 이전에 수 년 간의 준비기간이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다음 사항들을 살펴보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하시는 말씀에 귀 기울여 볼 것이다.

  1. God’s Preparation 하나님의 준비

  2. God’s Confrontation 하나님의 대면

  3. God’s Challenge 하나님의 도전

1. God’s Preparation 하나님의 준비

  1. (1)  In 17:1, we saw him openly confront evil Ahab for the first time and warn him about the coming

    drought. God prepared him for this in the rugged mountains and fields of Gilead and Tishbeh.

    17:1에서 우리는 엘리야가 처음으로 악한 아합에게 공개적으로 맞서며 다가오는 가뭄에 대해

    경고하는 것을 보았다. 하나님께서는 길르앗과 디스베의 험준한 산과 들에서 이것을 위해

    엘리야를 준비시키셨다.

  2. (2)  God’s preparation went on. Instead of a public ministry, God sent him to a secluded brook, Cherith, which was undoubtedly a time for him to be alone with God, drawing upon His supernatural resources—to learn how to listen to God and pray.

    하나님의 준비는 계속되었다. 공적인 사역 대신 하나님께서는 엘리야를 한적한 그릿 시내로 보내셨는데, 이는 의심의 여지없이 엘리야가 오직 하나님과 함께 보내며 그분의 초자연적인 자원을 활용하여 하나님의 음성을 듣고 기도하는 법을 배우는 시간이었다.

  3. (3) Finally, we saw Elijah in Zarephath at the home of the poor widow. This became a place for testing, testimony, and confirmation. 마지막으로, 우리는 사르밧의 가난한 과부의 집에 있는엘리야를 보았다. 이곳은 시험, 증거, 확신의 장소가 되었다.

All of this reminds us that, within God's larger plan for our lives, He is consistently working to test, train, and prepare us for what lies ahead. We mu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eing faithful in the smaller responsibilities of life. Now, three years have gone by, and it is time for God to deliver His message to Israel through the prophet. Elijah was a tool being sharpened and shaped for what’s coming, but the same applies to us—if we are willing to be sharpened and used.

이 모든 것은 하나님은 우리의 삶에 대한 더 큰 계획 안에서 우리를 시험하고, 훈련시키며, 앞에 놓인 일을 준비시키기 위해 계속 일하고 계신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우리는 삶의 더 작은 책임에 충실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이제 3년이 흘렀고, 하나님께서 선지자를 통해 이스라엘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실 때다. 엘리야는 다가올 일을 위해 다듬어지고 만들어지고 있는 도구였지만, 똑같은 과정이 우리에게도 적용된다 - 우리가 기꺼이 견고히 다듬어져 사용되기를 원한다면.

2. God’s Confrontation

The location selected for the contest was Mount Carmel. “Carmel” is a Hebrew word meaning “a garden land, a place of fruitfulness or fertility.”
The prophets of old were often confrontational.

Brethren, if we do God’s work in God’s way at God’s time with God’s power, we will receive God’s blessing and the devil’s curses. When God opens the windows of heaven to bless us, the devil will open the door of hell to destroy us. God’s smile means the devil’s frown! Mere preachers may help anyone and hurt no one; but prophets will stir everyone and upset someone. The preacher may go along with the crowd; the prophet goes against it.

Leonard Ravenhill

형제 여러분, 만일 우리가 하나님의 일하심을 하나님의 방법으로,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능력으로 행한다면, 우리는 하나님의 축복과 마귀의 저주를 받을 것이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축복하시기 위해 하늘의 창문을 여실 때, 마귀는 우리를 파괴하기 위해 지옥의 문을 열 것이다. 하나님의 미소는 마귀의 찡그림을 의미한다! 평범한 설교자는 누구에게나 도움을 줄 수 있고 누구에게도 상처를 주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선지자는 모든 사람을 흔들고 누군가를 불쾌하게 할 것이다. 설교자는 군중과 함께 갈 수 있지만, 선지자는 그에 맞선다. - 레오나드 레이븐힐

And Elijah came near to all the people and said, “How long will you hesitate between two opinions?
If the LORD is God, follow Him; but if Baal, follow him.” But the people did not answer him a word. (1 Kgs. 18:21). The fundamental problem is seen in the words “hesitate between two opinions.” “Hesitate” is the Hebrew pasach which can also be translated as limping or dancing. “It’s time to stop limping and dancing and choose between the two.” He’s referring to their cultural, cultic, ritual dancing in the temple in Samaria and telling them, “It’s time to stop dancing in front of the statues you’ve made.” They danced between Baal and Yahweh. It’s this syncopation – the uneven movement from god to God.

엘리야가 모든 백성에게 가까이 나아가 이르되, "너희가 언제까지 두 의견 사이에서 머뭇거리려느냐? 만일 여호와께서 하나님이시라면 그분을 따르고, 만일 바알이 하나님이라면 그를 따르라" 하니 백성이 그에게 한마디도 대답하지 아니하더라(열왕기상 18:21). 근본적인 문제는 "두 의견 사이에서 머뭇거린다"는 말에서

대결을 위해 선택된 장소는 갈멜 산이었다. "갈멜""정원, 풍요와 비옥함의 장소"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다. 옛 선지자들은 종종 하나님과 직면했다.

볼 수 있다. "머뭇거린다"는 것은 히브리어 '파사흐'인데, 이는 절뚝거리거나 춤추는 것으로도 번역될 수 있다. "이제 절뚝거리고 춤추듯이 흐느적 거리는 것을 멈추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할 때다." 엘리야는 사마리아 성전에서 행하던 문화적, 종교적, 의식적 춤을 언급하며 백성들에게 "너희가 만든 조각상 앞에서 춤추는 것을 그만둘 때다. 백성들은 바알과 야훼 사이에서 춤을 췄다. 이것은 신에게서 하나님께로의 고르지 못한 움직임, 즉 불안정하고 확신하지 못하는 믿음 상태를 보여주는 싱코페이션*이다(*Syncopation: 음악 용어. 비정형리듬).

Baalism is what we call today what the New Testament describes as idolatry. Today, there are beauty baals, money baals, family baals, power baals, social capital baals, tradition baals, church attendance baals, sports

baals, fitness baals, and food baals. Baalism involves taking something good that God created, turning it into your savior, your hope for identity, and thus transforming a good thing into a bad, evil, and idolatrous

thing. 바알주의는 우리가 오늘날 신약에서 우상 숭배로 묘사하는 것을 일컫는 말이다. 오늘날 미의 바알, 물질 바알, 가족 바알, 권력 바알, 사회적 자본 바알, 전통 바알, 교회 출석 바알, 스포츠 바알, 피트니스 바알, 음식 바알 등 많은 우상이 있다. 바알주의는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좋은 것을 취하여 그것을 당신의 구원자, 당신이 희망하는 정체성으로 바꾸고, 따라서 좋은 것을 나쁘고, 악하고, 우상 숭배적인 것으로 변형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A Christian scholar, Walter Brueggemann, says it this way about this passage: “Modern Baalism reduces the mystery of life into manageable techniques, into power plays at success. It’s a life of independence, not dependence. It’s control instead of trust. ... Your Baal will fail you. Your god will say, ‘Dance for me!’ and you will try to hold it up for so long until your god demands a sacrifice.”

기독교 학자인 월터 브루그만은 이 구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현대 바알주의는 삶의 신비를 관리 가능한 기술로, 성공을 위한 권력 놀이로 축소한다. 그것은 의존이 아닌 독립적인 삶이다. 신뢰 대신 통제이다. . . . 당신의 바알은 당신을 실패시킬 것이다. 당신의 신은 '나를 위해 춤춰라!'라고 말할 것이고 당신은 당신의 신이 희생을 요구할 때까지 오랫동안 그것을 붙잡으려고 노력할 것이다."

3. God’s Challenge 신의 도전

(1) The Prayers of the Baal Priests: But NO ANSWER from Heaven (vss. 26-29)

바알 제사장들의 기도: 그러나 하늘로부터의 응답은 없다 (26-29절).

(2) The Public Prayer of Elijah: FIRE from Heaven (vss. 30-40)

엘리야의 공적 기도: 하늘로부터의 불 (30-40절).

(3) The Private Prayer of Elijah: RAIN from Heaven (vss. 41-46)

엘리야의 사적 기도: 하늘로부터의 비 (41-46절).

Elijah’s public prayer occupies only two verses and 63 words in the English Bible, and even fewer in the Hebrew. Here, we find a principle that is seen throughout the Bible. Public prayers should generally be brief, clear, and concise. The Lord does not hear us for our many words.

엘리야의 공적인 기도는 영어 성경에서 단 두 동사와 63 개의 단어,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훨씬 더 적은 단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우리는 성경 전체에서 볼 수 있는 원칙을 발견한다. 공적인 기도는 일반적으로 간결하고 분명하고 명확해야 한다. 주님께서는 우리의 많은 말 때문에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는 것이 아니다.

Will you trust me till the end? 너는 끝까지 나를 믿겠느냐?

In this chapter, we have three illustrations of prayer: 이 장에서 우리는 세 가지 기도의 예를 본다.

Much of our praying is just giving God advice. Our prayers are often mixed with ambition. Our goal should be to focus on God alone. We tell Him what to do and how to do it. We pass judgments and make evaluations in our prayers. In short, we do everything except truly pray.

우리의 많은 기도는 단지 하나님께 조언을 드리고 있다. 우리의 기도는 종종 야망과 섞여 있다. 우리의 목표는 오직 하나님께 집중하는 것이어야 한다. 우리는 그분께 무엇을 해야 하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말씀드린다. 우리는 우리의 기도에서 판단을 내리고 평가를 한다. 간단히 말해서, 우리는 진정으로 기도하는 것을 제외한 모든 것을 한다.

Seven times he sent his servant to look at the clouds. And through it all, he kept praying reminding God of His promises, learning the final lesson: trust me!

일곱 번이나 엘리야는 자신의 종을 보내 구름을 살펴보게 했다. 그리고 그 모든 과정에서 하나님께 그 분의 약속을 상기시키고 마지막 교훈을 배우며 계속 기도했다: 나를 믿어라!

And in the end, a cloud like a man’s hand! 그리고 결국, 사람의 손바닥 만한 작은 구름이 떠올랐다!

 

Conclusion 결론
What can we learn from Elijah? The price is high. God does not want partnership with us, but ownership of

us. Through it all, there’s one question: Can you trust me?

우리는 엘리야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대가는 비싸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와의 동업관계가 아니라, 우리에게서 소유권을 원하신다. 그 모든 것을 통해 하나의 질문이 있다: 너는 나를 믿을 수 있느냐? 

    추천

댓글 0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추천 조회
이전글 Elijah, a Fire without a Flame 운영자 2025.07.16 0 41
다음글 Lessions from a Drying Brook 운영자 2025.06.29 0 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