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t our YouTube channel at https://www.youtube.com/@daeheunginternationalchurc2950
for weekly sermon updates and online worship.
공지 | Elijah a Story of Trust | Johan Reiners | 2025-07-06 | ||||||||||
|
|||||||||||||
Scripture Reading: 1 Kings 18:19-22
A Story of Trust 믿음이야기
Introduction 서론
The Carmel episode is the dramatic highlight of the story. Whatever happens here was preceded by years of preparation. Therefore, we will examine the following points and listen to what God is saying to us. 갈멜산 사건은 이야기의 극적인 하이라이트다. 여기서 일어나는 일은 모두 그 이전에 수 년 간의 준비기간이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다음 사항들을 살펴보고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하시는 말씀에 귀 기울여 볼 것이다.
1. God’s Preparation 하나님의 준비
All of this reminds us that, within God's larger plan for our lives, He is consistently working to test, train, and prepare us for what lies ahead. We mus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being faithful in the smaller responsibilities of life. Now, three years have gone by, and it is time for God to deliver His message to Israel through the prophet. Elijah was a tool being sharpened and shaped for what’s coming, but the same applies to us—if we are willing to be sharpened and used. 이 모든 것은 하나님은 우리의 삶에 대한 더 큰 계획 안에서 우리를 시험하고, 훈련시키며, 앞에 놓인 일을 준비시키기 위해 계속 일하고 계신다는 것을 상기시켜 준다. 우리는 삶의 더 작은 책임에 충실하는 것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이제 3년이 흘렀고, 하나님께서 선지자를 통해 이스라엘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실 때다. 엘리야는 다가올 일을 위해 다듬어지고 만들어지고 있는 도구였지만, 똑같은 과정이 우리에게도 적용된다 - 우리가 기꺼이 견고히 다듬어져 사용되기를 원한다면. 2. God’s Confrontation The location selected for the contest was Mount Carmel. “Carmel” is a Hebrew word meaning “a garden
land, a place of fruitfulness or fertility.” Brethren, if we do God’s work in God’s way at God’s time with God’s power, we will receive God’s blessing and the devil’s curses. When God opens the windows of heaven to bless us, the devil will open the door of hell to destroy us. God’s smile means the devil’s frown! Mere preachers may help anyone and hurt no one; but prophets will stir everyone and upset someone. The preacher may go along with the crowd; the prophet goes against it. Leonard Ravenhill 형제 여러분, 만일 우리가 하나님의 일하심을 하나님의 방법으로, 하나님의 때에, 하나님의 능력으로 행한다면, 우리는 하나님의 축복과 마귀의 저주를 받을 것이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축복하시기 위해 하늘의 창문을 여실 때, 마귀는 우리를 파괴하기 위해 지옥의 문을 열 것이다. 하나님의 미소는 마귀의 찡그림을 의미한다! 평범한 설교자는 누구에게나 도움을 줄 수 있고 누구에게도 상처를 주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선지자는 모든 사람을 흔들고 누군가를 불쾌하게 할 것이다. 설교자는 군중과 함께 갈 수 있지만, 선지자는 그에 맞선다. - 레오나드 레이븐힐 And Elijah came near to all the people and said, “How long will you hesitate between two opinions? 엘리야가 모든 백성에게 가까이 나아가 이르되, "너희가 언제까지 두 의견 사이에서 머뭇거리려느냐? 만일 여호와께서 하나님이시라면 그분을 따르고, 만일 바알이 하나님이라면 그를 따르라" 하니 백성이 그에게 한마디도 대답하지 아니하더라(열왕기상 18:21). 근본적인 문제는 "두 의견 사이에서 머뭇거린다"는 말에서 대결을 위해 선택된 장소는 갈멜 산이었다. "갈멜"은 "정원, 풍요와 비옥함의 장소"를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다. 옛 선지자들은 종종 하나님과 직면했다. 볼 수 있다. "머뭇거린다"는 것은 히브리어 '파사흐'인데, 이는 절뚝거리거나 춤추는 것으로도 번역될 수 있다. "이제 절뚝거리고 춤추듯이 흐느적 거리는 것을 멈추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할 때다." 엘리야는 사마리아 성전에서 행하던 문화적, 종교적, 의식적 춤을 언급하며 백성들에게 "너희가 만든 조각상 앞에서 춤추는 것을 그만둘 때다. 백성들은 바알과 야훼 사이에서 춤을 췄다. 이것은 신에게서 하나님께로의 고르지 못한 움직임, 즉 불안정하고 확신하지 못하는 믿음 상태를 보여주는 싱코페이션*이다(*Syncopation: 음악 용어. 비정형리듬).
A Christian scholar, Walter Brueggemann, says it this way about this passage: “Modern Baalism reduces the mystery of life into manageable techniques, into power plays at success. It’s a life of independence, not dependence. It’s control instead of trust. ... Your Baal will fail you. Your god will say, ‘Dance for me!’ and you will try to hold it up for so long until your god demands a sacrifice.” 기독교 학자인 월터 브루그만은 이 구절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현대 바알주의는 삶의 신비를 관리 가능한 기술로, 성공을 위한 권력 놀이로 축소한다. 그것은 의존이 아닌 독립적인 삶이다. 신뢰 대신 통제이다. . . . 당신의 바알은 당신을 실패시킬 것이다. 당신의 신은 '나를 위해 춤춰라!'라고 말할 것이고 당신은 당신의 신이 희생을 요구할 때까지 오랫동안 그것을 붙잡으려고 노력할 것이다." 3. God’s Challenge 신의 도전 (1) The Prayers of the Baal Priests: But NO ANSWER from Heaven (vss. 26-29) 바알 제사장들의 기도: 그러나 하늘로부터의 응답은 없다 (26-29절). (2) The Public Prayer of Elijah: FIRE from Heaven (vss. 30-40) 엘리야의 공적 기도: 하늘로부터의 불 (30-40절). (3) The Private Prayer of Elijah: RAIN from Heaven (vss. 41-46) 엘리야의 사적 기도: 하늘로부터의 비 (41-46절). Elijah’s public prayer occupies only two verses and 63 words in the English Bible, and even fewer in the Hebrew. Here, we find a principle that is seen throughout the Bible. Public prayers should generally be brief, clear, and concise. The Lord does not hear us for our many words. 엘리야의 공적인 기도는 영어 성경에서 단 두 동사와 63 개의 단어,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훨씬 더 적은 단어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우리는 성경 전체에서 볼 수 있는 원칙을 발견한다. 공적인 기도는 일반적으로 간결하고 분명하고 명확해야 한다. 주님께서는 우리의 많은 말 때문에 우리의 기도를 들으시는 것이 아니다.
Conclusion 결론 us. Through it all, there’s one question: Can you trust me? 우리는 엘리야로부터 무엇을 배울 수 있는가? 대가는 비싸다. 하나님께서는 우리와의 동업관계가 아니라, 우리에게서 소유권을 원하신다. 그 모든 것을 통해 하나의 질문이 있다: 너는 나를 믿을 수 있느냐? |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