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turn of the Prodigals 2 (Summary) 돌아온 탕자 2
Introduction 서론
Last week, we explored Henri Nouwen’s interpretation of the parable through his analysis of Rembrandt’s painting of
the prodigal son's return. We focused on the concepts of:
지난주, 우리는 헨리 나우웬이 분석한 렘브란트의 돌아온 탕자의 그림을 통해 나우웬이 이 성경의 비유를 어떻게
해석하는지 살펴보았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개념에 초점을 맞췄다.
Leaving home 집을 떠나다
Away from home 집에서 멀어지다
Home at last 마침내 집에 돌아오다 Today, I want to shift our focus to the two sons—both prodigals in their way. Again, we will reference Rembrandt’s
rendition of the story, particularly how accurately he captured their sense of lostness. 오늘은 두 아들, 즉 각자의 방식으로 탕자였던 두 아들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다시 한번 렘브란트의 이야기 해석을
참조하여, 특히 두 아들의 상실감을 얼마나 정확하게 포착했는지 살펴보겠다.
To recap: Two significant items were discovered in Rembrandt's house after his death—an old, tattered Bible and this
painting, which represents his interpretation of the parable from Luke 15. To fully understand this parable and see how
it is reflected in Rembrandt’s interpretation, let’s examine the Bible and the story as told by Jesus.
요약하면, 렘브란트가 사망한 후 그의 집에서 두 가지 중요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낡고 너덜너덜한 성경과 누가복음
15 장의비유에대한그의해석을보여주는이그림.이비유를온전히이해하고렘브란트의해석에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성경과 예수님이 말씀하신 이야기를 살펴보겠다.
1. Homecoming for those who are home 집에 있는 사람들을 위한 귀향 Luke 15 opens with the context of the parable: 누가복음 15 장은 비유의 문맥으로 시작된다.
“Now the tax collectors and sinners were all gathering around to hear Jesus. 2 But the Pharisees and
the teachers of the law muttered, 'This man welcomes sinners and eats with them.’” 많은 세무원과
죄인들이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려고 모여들었다. 2 그러나 바리새파 사람들과 율법학자들은 “이 사람이
죄인들을 환영하고 함께 음식까지 먹는다” 하고 투덜댔다.
The curtain opens, and we see Jesus in the company of tax collectors and sinners. On the one side – the outcasts, the
rejects of life. Tax collectors were the spiritually untouchables.
커튼이 열리고, 우리는 세리들과 죄인들과 함께 계신 예수님을 본다. 한쪽에는 버림받은 자들, 즉 삶에서 버림받은
자들이 있다. 세리들은 영적으로 건드릴 수 없는 자들이었다.
o On the other side – the yangban – the aristocracy of the Jewish establishment.
반대편에는 유대인 기득권층의 귀족, 양반이 있었다.
o Note the shock, disgust, and surprise on their faces. 그들의 얼굴에 나타난 충격, 혐오감, 그리고 놀라움에 주목하라.
o Jesus didn’t fit their theology! 예수님은 세리들의 신학에 맞지 않는 분이셨다! o Their theology was dominated by a one-sided view of God in the Torah and the Scriptures. For them, God
was the law-giving, rigid judge – a God to be feared and jealous of his own. It was the God of thunder and
lightning. 세리들의 신학은 토라와 성경에 나타난 하나님에 대한 편향된 관점에 지배당했고 있었다.
그들에게 하나님은 율법을 전달하는, 엄격한 재판관, - 두려워하고 스스로 질투하는 하나님이었다. 천둥과
번개의 하나님이었다. o In the three parables of the lost sheep, lost coin, and lost son, Jesus painted a different picture: That of a God who is
reaching out in love and mercy. 잃어버린 양, 잃어버린 드마크라 동전, 잃어버린 아들의 세 가지 비유에서 예수님은
다른 모습을 보여주셨다. 바로 사랑과 자비로 다가오시는 하나님의 모습이다. o In the Pharisees and scribes, the leaders and religious inner circle, we see the oldest son.
바리새인과 서기관, 지도자들과 종교 핵심층에서 우리는 장남을 본다.
▪ In Henri Nouwen's "The Return of the Prodigal Son: A Story of Homecoming," the elder son
represents a different kind of prodigal. The elder son remains home but feels neglected and
unappreciated. 헨리 나우웬의 “돌아온 탕자: 귀향 이야기”에서 큰아들은 다른 유형의 탕자의
모습을 보여준다. 큰아들은 집에 남지만, 소외감과 인정받지 못하는 느낌을 받는다.
▪ ResentmentandJealousy:원망과질투
• The elder son is deeply envious of his younger brother's return and the father's lavish
celebration. He feels that his efforts and loyalty have been overlooked. 큰아들은 동생의 귀향과 아버지의 성대한 축하를 몹시 부러워한다. 큰아들은 자신의
• The elder son is more focused on the rules and expectations than on the love and
compassion demonstrated by his father.
큰아들은 아버지가 보여준 사랑과 연민보다는 규칙과 기대에 더 집중한다.
▪ SpiritualPride:영적교만 • The elder son's pride prevents him from experiencing the joy and freedom of the
homecoming. 큰아들은 교만함 때문에 귀향의 기쁨과 자유를 누리지 못한다.
▪ FailedtoEmbraceLove:사랑을받아들이지못함: • He fails to understand the father's unconditional love and the potential for a loving
relationship with his brother. 큰아들은 아버지의 무조건적인 사랑과 작은 아들과의
사랑의 관계가 언제나 자리하고 있었음을 이해하지 못한다. o Listen to the conversation at the end of the parable: 비유의 마지막에 나오는 대화를 들어보라.
o The father: “This son of mine...” 아버지: “나의 이 아들은...”
o The brother: “This son of yours..” 아들: “당신의 이 아들은..”
o Again, the father: “This brother of yours.” 다시, 아버지: “네 동생은.” o And then: “Look! All these years, I’ve been slaving for you and never disobeyed your orders.”
그리고 나서: “제가 여러 해 동안 아버지를 섬겨 왔고 아버지의 명령을 어긴 일이 없습니다.”
o “My son,’ the father said, ‘you are always with me, and everything I have is yours.” “나의 아들아,”
아버지가 말씀하셨다, “너는 항상 나와 함께 있으니 내가 가진 모든 것이 다 네 것이 아니냐?”
▪ Again:Heseesthefatherasboss,notasdad!
다시: 아들은 아버지를 아버지가 아닌 상사로 보았다
I have been slaving for you! 저는 당신을 섬겼습니다.
I have never disobeyed your orders! 저는 한 번도 당신의 명령을 어긴 적이 없습니다.
You can be in the house and still be in the far country. Many lost sons and daughters reside in the Father’s house. To the
older brother: It’s time to come home! The distance between you and Jesus reflects the distance to the far country.
집에 있으면서도 먼 나라에 있을 수 있다. 많은 잃어버린 아들딸들이 아버지의 집에 거한다. 형에게: 이제 집으로 돌아올
때이다! 예수님과 당신 사이의 거리는 먼 나라와의 거리를 나타낸다.
2. The younger son 작은 아들 What is known about him? 작은 아들에 대해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
o He demanded his share of the inheritance. According to Deuteronomy 21, it’s one-third of the estate.
작은 아들은 상속 재산 중 자기 몫을 요구했다. 신명기 21 장에 따르면, 그것은 재산의 3 분의 1 이다.
▪ Be careful about what you ask. You might get it! 당신이 요구하는 것에 조심하라! 당신을 그것을 얻을 수도 있다!
Samson got Delilah and lost his strength and ministry.
삼손은 데릴라를 얻었고 자신의 힘과 사명을 잃었다.
Jacob got his blessing and had to flee from his house, never to see his mother again.
야곱은축복을받고집을떠나어머니를다시는볼수없게되었다.
Israel got a king and much trouble. 이스라엘은 왕을 얻었지만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This young man got his inheritance and ended up with the pigs. 이 젊은이는 상속 재산을 받았지만 결국 돼지 떼와 함께하게 되었다.
o He was reckless – he squandered away all of his inheritance.
작은 아들은 생각이 부족했다. - 모든 상속 재산을 탕진하고 말았다.
o He experienced the devastating consequences of sin.
작은 아들은 처참한 죄의결과를 경험했다.
o Sin pays until the last drop is wasted, leaving you forsaken and forgotten in your misery. 죄는 마지막 한
방울이 소진될 때까지 대가를 치르게 하고, 당신을 비참함 속에 버려지고 잊혀지게 한다.
o Rembrandt experienced it. 렘브란트는 그것을 경험했다. o A broken young man – coming to his senses. 망가진 젊은이 – 정신이 돌아온다.
o Making a quality decision – I will go back! 최고의 결정을 내렸다. 돌아가겠다!
o I will be a servant. 나는 종이 되겠다. o I don’t deserve to be a child. 자녀가 될 자격이 없다
▪ That’srepentance.이것이회개이다.
o Look at Rembrandt’s version of this young man: 렘브란트가 그린 이 젊은이의 모습을 보라 o After a long, exhausting, and perhaps lonely faith journey, that we may all have taken at one time or another, do we
not LONG FOR the tender embrace of the Father, do we not LONG FOR A HOME where we can feel safe, where we
can rest, and enjoy a sense of BELONGING? 길고 지치고 어쩌면 외로웠을지도 모르는 신앙의 여정을 마치고, 우리 모두가 때로 한 번쯤 은 겪었을, 우리는
아버지의 부드러운 품을, 안전함을 느끼고, 쉴 수 있고, 소속감을 누릴 수 있는 집을 그리워하지 않는가?
In the parable, the father called his servants to bring him a
이 비유에서 아버지는 종들을 불러 다음을 가져오라 한다
Robe – a sign of honor and restoration as a child, not a servant;
겉옷-종이아닌자녀로서의명예와회복의상징
Shoes – a sign of freedom. Slaves didn’t wear the same shoes – he was now a son!
신발–자유의상징.노예들은이와같은신발을신지않았다.이제그는아들이되었다!
Ring – a sign of authority – the restoration of his power of attorney.
반지-권위의상징,위임장의회복
The feast – a sign of welcome!
잔치-환영의상징!
Conclusion 결론
Rembrandt concluded his life with this testimony—the painting of the prodigal son's return. It was his story, as well as the
story of Henri Nouwen and millions more. It’s a story of homecoming for the prodigal, the brother, and even the father. It’s a
story of an old father, on the lookout for the lost son, a merciful father, extending a hand of love to his older son. It’s a story of
God that the Pharisees and scribes failed to recognize.
렘브란트는 이 간증, 즉 돌아온 탕자를 그린 그림으로 자신의 삶을 마무리했다. 이 그림은 렘브란트의 이야기이자 헨리 나우웬
뿐 아니라 수백만 명의 사람들의 이야기였다. 탕자와 형, 그리고 심지어 아버지의 귀환 이야기이기도 히다. 잃어버린 아들을
찾아 헤매는 늙은 아버지, 큰아들에게 사랑의 손길을 내미는 자비로운 아버지의 이야기이다. 바리새인과 율법학자들이
깨닫지 못했던 하나님의 이야기이다.
Today, can we dare to step out of the observer or bystander role, step into the young man's place, kneel in spirit, and let
ourselves be held by our loving God? But it is also the place where we have to let go of all that we want to hold on to; the place
that confronts us with the fact that accepting love, forgiveness, and healing is often much more complicated than giving it. It’s
the place beyond earning, deserving, and rewarding; it’s the place of surrender and complete truth. It’s the place of “coming
to our senses”, falling on our knees,
and letting our tears flow freely, because we are HOME.
오늘, 우리는 감히 관찰자 또는 방관자 역할에서 벗어나 젊은이의 자리로 가서 성령안에서 무릎을 꿇고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나님의 품에 안길 수 있는가? 하지만 그곳은 또한 우리가 붙잡고 싶은 모든 것을 내려놓아야 하는 곳이다. 사랑과 용서,
그리고 치유를 받아들이는 것이 종종 그것을 베푸는 것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는 사실에 우리가 직면하게 되는 곳. 그곳은
얻고, 자격이 있고, 보상받는 것을 뛰어 넘는 곳, 온전한 순종과 진리의 곳이다. "정신을 차리고" 무릎을 꿇고 마음껏 눈물을
댓글 0